연금저축 ETF 투자 방법: 적립식 ETF 투자 2년차 수익인증

운용기간 2021.12~
연평균 수익률: 18.23%
누적 수익률: 37.37%


2021년 12월 부터 연금저축계좌로 계인연금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개인연금 투자방법 중 가장 쉽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진 ETF 위주로 운용중이고, 최근 주식시장의 상승으로 수익률도 준수한 편 입니다. 아래의 글에서는 연금저축 ETF 투자 수익률과 포트폴리오를 공유합니다.

개인연금

1994년 세계은행이 발간한 ‘노년위기의 모면 (Averting the Old-Age Crisis)’라는 보고서에는 노후를 위한 3층 연금 체계를 제시했습니다. 1층은 사회가 보장하는 연금, 2층은 기업이 보장하는 연금, 3층은 개인이 준비하는 연금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제도는 1층은 국민연금으로, 2층은 퇴직연금으로 그리고 3층은 개인연금으로 구축되어 있습니다. [출처]

근로소득자라면 누구나 다 국민연금에 가입되어 있으니 더 잘하고 못하고 할게 없습니다. 국민연금의 수익률은 평균 7%수준으로 매우 준수한 편이지만, 인구감소로 연금고갈이 명약관화한 상황에서 국민연금만 믿고 있을 수만은 없습니다. 때문에, 개인이 운용할 수 있는 퇴직연금 dc형과 개인연금이 더욱 중요합니다.

이전 글에서는 이중 2층에 해당하는 퇴직연금의 수익률투자방법(포트폴리오)에 대해 자세히 다뤘습니다. 본 글은 마지막 3층에 해당하는 개인연금의 운용방법과 수익률에 대해 다룹니다.

연금저축계좌 운용방법

개설방법

개인연금은 연금저축계좌를 만들고 매달 적립할 돈을 입급해서 투자상품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운용됩니다. 연금저축계좌는 증권사나 은행에서 개설할 수 있으며, 요즘에는 비대면으로 신분증만 있으면 언제나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사용하기 편한 증권사 어플을 설치하고 계좌개설 메뉴에서 연금저축계좌를 선택하시고 안내를 따라가시면 30분안에 계좌개설이 가능합니다. 저는 퇴직연금에서 이용하고 있는, 미래에셋에서 연금저축계좌를 개설했습니다.

납입한도

연금저축계좌는 1년에 최대 1,8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총액 한도에 해당하는 1800만원은 퇴직연금계좌의 납입액을 합쳐서 계산됩니다. 즉, 퇴직연금에 1000만원을 납입했다면, 연금저축계좌에는 800만원만 납입할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 혜택

정부에서는 개인연금을 장려하기위해 연금저축계좌에 적립하는 돈은 세액공제 혜택을 줍니다.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납입한도는 600만원이고, 총 급여액이 5,500만원 이하면 16.5%, 초과면 13.2%의 세액이 연말정산에서 공제가 됩니다. 600만원을 채워서 납입하면, 소득이 5,500만원 이하인 경우 90만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는 퇴직연금계좌와 합치면 900만원으로 늘어납니다. 세액공제 한도를 최대로 채우려면, 연금저축계좌에 600만원을 납입하고 퇴직연금계좌에 300만원을 추가로 납입하면 됩니다. 900만원을 납입했을 때 세액공제는 소득에 따라 최대 148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총 급여액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세액공제율
연금저축 + 퇴직연금연금저축
5,500만원 이하900만원600만원16.5%
5,500만원 초과13.2%

연금저축계좌 포트폴리오

개인연금은 주식을 제외하고 펀드, ETF, 리츠 등 다양한 상품에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에서도 언급했듯이, 변동성을 견딜 수만 있다면 장기투자 수익률을 주식형 펀드 상품이 다른 금융상품보다 우월할 것으로 높을 것입니다. 때문에, 주식에 가장 노출이 많이 되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ETF (Exchange Trade Fund) 소개

ETF는 연금저축계좌에서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가장 쉽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ETF는 Exchange Trade Fund의 약어로 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펀드입니다. 최초의 ETF는 1993년 State Street Global Advisor사가 출시한 미국의 S&P500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SPY(SPDR S&P 500 Trust ETF)입니다.

S&P500 지수는 역사적으로 연평균 약 10%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미국의 기술주 중심의 주가지수인 나스닥 100지수는 연평균 13.1%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현재의 고금리에서도 예금 이자가 5%를 넘지 못하는 것과 비교하면, 미국 주가지수의 수익률이 매력적인 것은 사실입니다. 복리로 누적되면 수익률의 차이가 더욱 커져서 최종 수익이 수십배의 차이 날 수도 있습니다.

미국 주가지수가 좋은 성과를 낸것은 몇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최신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들이 미국에 있고, 이러한 기업들이 벌어들인 수익을 주주에게 환원하는 사회 문화적인 배경이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한국의 코스피 지수는 20년째 횡보하고 있습니다. 주가 오르고 배당을 주는 것이 회사의 오너에게 불리한, 주주와 오너의 이해상충적인 시스템과 문화 때문입니다.

포트폴리오 구성

연금저축계좌에는 미국의 대표적인 주가지수인 S&P500 지수와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습니다. 연금저축계좌에는 국외 상장된 상품은 구매할 수 없는데, 최근들어서 증권사들이 경쟁적으로 ETF 상품들을 출시하고 있어서 선택의 폭이 굉장히 넓어졌습니다. 비교해보면 몇몇 상품을 제외하고는 비용과 성과가 비슷해서 개인이 마음에 드는 상품으로 구성하면 됩니다.

미래에셋을 선호하시면 TIGER가 들어간 TIGER 미국S&P500, TIGER 미국나스닥100 상품으로 구성할 수 있고, 반대로 삼성증권을 선호하시면 KODEX가 들어간 KODEX 미국S&P500(TR), KODEX 미국나스닥100(TR) 상품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KODEX 상품의 끝의 ‘TR’은 Total Return, 즉, 배당금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지 않고 전부 재투자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러한 배당 재투자의 영향은 ETF의 가격에 반영됩니다.

다음의 링크는 국내상장된 ETF 상품들을 전수조사하여 비교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국내상장 S&P500 ETF 비교 추천

국내상장 나스닥100 ETF 비교 추천

아래의 표는 이렇게 구성한 연금저축 ETF 포트폴리오를 보여줍니다. 항목 1과 2는 환노출 상품으로 원달러 환율에 따라 가격이 변동합니다. 반면에 항목 3과 4 (TIGER 미국S&P500(H), TIGER 미국나스닥100(H))는 환헷지 상품으로 환율에 따라 가격이 바뀌지 않습니다. 환헷지 상품은 이름의 끝에 (H)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환헷지 상품은 비용도 더 비싸고 배당수익이 없어서 사실상 2%에 가까운 비용을 지불하는 상품입니다. 따라서, 환차손이 2% 이상으로 예상될 때에만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환율이 비정상 범위인 1,300원 이상으로 올라간 경우에는 환헷지 상품을 매수하고, 1,300이하로 내려오면 환헷지 상품을 환노출 상품으로 교체매매하는 방식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연금저축계좌의 현재 상황을 보여줍니다. 투자 초기에는 주식시장이 여러가지 이슈로 어지러운 상황이었기 때문에, 주가지수 추종외의 상품들 TIGER BBIG액티브, TIGER 글로벌리튬&2차전지SOLACTIVE, 그리고 ACE 미국배당다우존스에도 다양하게 투자했었는데 결과는 상대적으로 썩 좋지는 않았습니다. 현재는 S&P500 지수와 나스닥 100지수에만 투자하고 있습니다.

항목펀드총 비용 [%]배당수익률 [%]상장일비율 [%]
1TIGER 미국S&P5000.171.32020.08.0750
2KODEX 미국나스닥100TR0.19*TR2021.04.0950
3TIGER 미국S&P500(H)0.5002022.11.25
4TIGER 미국나스닥100(H)0.4302022.11.25

연금저축 ETF 투자 추천 포트폴리오

연금저축 ETF 투자 포트폴리오

연금저축 ETF 적립식 투자 수익: 투자 2년차 (2021.12~)

위에서 구성한 포트폴리오로 21년 12월부터 현재까지 투자한 결과는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각각, 연금자산 수익현황, 1년간 누적 수익률 변화, 그리고 미래에셋 연금저축계좌 가입자의 수익률 비교를 보입니다.

포트폴리오는 2021년 급격한 금리인상을 맞으며 2022년 말에는 누적 수익률이 한때 -20%까지 내려갔었는데, 2023년 초부터 시장의 상승으로 많이 회복상황입니다. 계좌는 최근 1년 35.54% 상습했습니다. 연평균으로는 18.23%의 수익률을 보이고, 누적수익률은 37.37% 입니다.

■ 연평균 수익률 18.23 %

■ 누적 수익률 37.37 %

미래에셋에서 연금저축계좌를 운용하는 개인의 수익률 평균은 17.44%입니다. 상위 5%는 62.44%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만족스러운 수익률입니다. 상위 5%의 수익률이 앞으로 계속 지속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미래의 주식시장은 아무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다만, 경제가 장기간 디플레이션에 빠지지 않고 자본주의 시스템에 계속 작동한다고 예상된다면, 연금저축 ETF 투자로 미국주식 추종 상품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연금저축 ETF 투자수익 인증
연금저축 ETF 투자 누적수익률 (2022~2023)
연금저축 ETF 투자 수익률 비교

관련 글

퇴직연금 DC형 운용방법: 주식형 펀드 투자 3년차 수익인증

1 thought on “연금저축 ETF 투자 방법: 적립식 ETF 투자 2년차 수익인증”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