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DC형 수익률 비교 분석

총 운용기간 2009~
가입자 평균 연평균 수익률: 5.00%


제가 다니는 회사의 퇴직연금 DC형 수익률을 비교분석했습니다.

퇴직연금

퇴직연금은 퇴직금의 연금 개념으로 회사에서 퇴직금으로 적립해 주는 돈을 퇴직 후 연금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저의 아버지 세대에는 연금보다는 퇴직금을 받는 것이 더 흔했습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는 퇴직금을 받을지 퇴직연금을 받을지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데, 조금 위 선배님들은 퇴직연금에 가입하기 보다는 퇴직금을 선택하는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퇴직금과 퇴직연금 모두 장단점이 있지만 목돈으로 받는 퇴직금의 경우는 퇴직하신 분들의 말씀을 들어보면 퇴직 후 얼마 되지 않아 다 써버리기 쉽다고 말씀하십니다.

목돈은 내가 지켜야하는 돈이고, 나를 지켜주는 돈은 연금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연금은 정해진 기간 일정한 주기로 들어오는 돈이기 때문에 거기에 맞춰 소비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퇴직연금은 DC(확정기여)형과 DB(확정급여)형 두 종류가 있습니다. [관련 기사]

DC(Defined Contribution) 확정기여형

확정기여형은 회사가 퇴직금의 일부(급여의 10%)를 매달 개인에게 적립해 주면 개인이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퇴직연금입니다. 퇴직연금 운영의 책임은 개인에게 있으며, 따라서 운영 실적도 개인이 얼마나 운영을 잘했느 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DB(Defined Benefit) 확정급여형

확정급여형은 회사가 개인에게 퇴직금으로 줄 돈을 확정하는 방식의 퇴직연금입니다. 보통 퇴직 직전 3개월 평균 급여에 근속연수를 곱한 금액으로 지급됩니다. 회사는 퇴직금을 지급하기 위해 회사 밖의 연금 운용 회사에 적립합니다.

회사가 개인에게 지급하는 것과 연금 운용 회사에 적립하는 것으로 DB형과 DC형이 구분됩니다. DB형은 받을 수 있는 퇴직금이 퇴직 전 3개월 평균 급여에 비례하기 때문에, 연봉상승률이 퇴직연금 운용 수익률보다 높다면 DB형이 유리하고, 반대라면 DC형이 유리합니다.

퇴직연금 DC형 수익률 분석

제가 다니는 회사는 근로자의 80%가 DC형 퇴직연금에 가입했습니다. 근속연수가 길고 퇴직금 운영기관의 수익률이 나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퇴직연금 가입자의 90%가 원리금 보장 상품을 가입했습니다. 원리금 보장 상품의 수익률은 보통 기준금리 보다 1.5% 높은 수준입니다.

2023년 수익률 통계

2023년 공개된 수익률 통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현재 2009년부터 2023년 까지 14년간 운용한 연금 총액의 누적 수익률은 79.34%이며 연평균 수익률은 5.61%입니다. 물론 나쁘지 않은 수익률입니다.하지만 주가지수의 수익률에 비하면 아쉬운 수준입니다.

■ 누적 수익률 79.34 %

■ 연평균 수익률 5.61 %

2023년 퇴직연금 가입자 수익률 분포

2023년 퇴직연금 가입자의 수익률 분포는 아래의 표와 그림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입자의 평균 연평균 수익률은 5%, 최대 수익률은 12.73%, 그리고 최저 수익률은 -9.79%입니다.

그림에서 특이한 점은 수익률의 분포가 4.5%를 중심으로 (많이 찌그러져 있지만) 정규분포와 비슷한 형태를 그린다는 것 입니다. 4.5% 보다 높은 수익률은 과거에 금리가 높을 때 가입한 분들로 추정됩니다. 반면에 4.5% 보다 낮은 수익률은 최근의 저금리 영향을 많이 받은 경우입니다.

연평균 수익률 4.5%를 기준으로, 3~6%의 수익률 범위는 모두 원리금 보장 방식의 상품을 가입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이를 벗어나는 수익률은 원리금 보장형이 아닌 다른 펀드 상품을 선택하셨습니다.

대표적으로, 마이다스퇴직연금배당40증권자투자신탁(채권혼합), 미래에셋퇴직플랜40증권자투자신탁(채권혼합), 미래에셋퇴직플랜아시아퍼시픽40증권자투자신탁(채권혼합)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 채권혼합형 펀드들인데, 수익률이 안 좋은 분들은 최근의 금리 인상으로 채권 가격이 많이 떨어진 것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 평균 수익률 5.00%

■ 최대수익률 12.73%

■ 최저수익률 -9.79%

수익률 [%]분포 [%]
-100.04
-6.50.04
-4.50.08
-40.08
-3.50.04
-30.04
-2.50.04
-20.15
-1.50.11
-10.11
-0.50.11
00.19
0.50.23
10.61
1.50.69
21.03
2.50.77
33.22
3.52.72
44.59
4.534.57
519.68
5.512.79
617.38
6.50.23
70.08
7.50.15
80.08
10.50.04
110.04
120.04
12.50.04
퇴직연금 DC형 수익률 분포 (2023년)
2023년 퇴직연금 DC형 수익률 분포

2020~2023년 수익률 변화

과거에 퇴직연금 DC형 수익률은 어땠는지, 2020년과 2021년 자료들을 같이 비교했습니다. 2022년에는 자료가 공개되지 않아 비교에서 제외했습니다.

2020년

2020년 퇴직연금 가입자의 평균 연평균수익률은 5.29%입니다. 최대와 최저 수익률은 각각 24.32%와 1.63%입니다. 2020년은 코로나로 금리를 급격히 낮추면서 주식과 채권 가격이 많이 오르던 시기라서, 최대 수익률도 굉장히 높고 최저 수익률도 손해를 보는 수준이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평균 수익률은 2023년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 평균 수익률 5.29%

■ 최대 수익률 24.32%

■ 최저 수익률 1.63%

2021년

2021년 퇴직연금 가입자의 평균 연평균수익률은 5.21%입니다. 최대와 최저수익률은 각각 30.76% 그리고 -1.45%입니다. 2021년은 금리를 급격히 올리기 시작하던 시기입니다. 주식은 조금 더 올랐지만, 채권은 금리 인상에 영향을 꽤 받았을 겁니다. 손실을 보신 분은 채권형 상품을 선택하셨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최대 수익률은 주식형 상품 위주로 운영하시는 분으로 보입니다.

■ 평균 수익률 5.21%

■ 최대 수익률 30.76%

■ 최저 수익률 -1.45%

아래의 그림은 2020년, 2021년, 그리고 2023년 퇴직연금 DC형 수익률 분포입니다. 세 년도 모두 4.5%를 기준으로 펼쳐진 정규분포 형태의 분포를 보입니다. 2020년에는 비교적 균등한 수익률 분포를 보였는데, 2021년과 2023년에는 5.5% 그리고 4.5% 수익률에 분포가 몰려있습니다. 아마도 최근의 저금리가 가입 기간이 길지 않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크게 미쳤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퇴직연금은 수십 년의 장기간 가입하므로 앞으로 장기금리의 방향이 수익률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퇴직연금 DC형 2020~2023 수익률 분포
퇴직연금 DC형 수익률 비교 (2020년~2023년)

퇴직연금 DC형 수익률 분석 후기

제가 다니는 회사의 퇴직연금 DC형 수익률은 2020년 연평균 5.29%, 2021년 5.21%, 그리고 2023년 5.00%로 점점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그 원인으로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코로나로 인한 저금리로 원리금보장 상품의 수익률이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기준 금리가 0.5%였던 2020년의 원리금보장상품 수익률은 2.0%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 입사한 분들은 수익률이 통계에서 좋게 보일 수가 없습니다.

다른 이유는 최근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채권과 주식의 수익률이 급락해서 관련된 펀드에 가입한 분들의 수익률이 떨어진 것입니다. 다행히 며칠 전 미국 연준에서 금리 인하 얘기가 나온 이후로 주식과 채권이 가격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서 펀드에 가입하신 분들은 내년에는 조금 더 좋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퇴직연금 DC형 수익률로 5%라는 수치는 나쁘지 않지만, 주식의 수익률에 비하면 아쉽습니다. 만약 20대 후반 또는 30대 초반에 회사에 입사해서 정년까지 다닌다면, (정년이 65세로 늘어난다고 가정하면) 약 35년 동안 퇴직연금에 가입할 것입니다. 35년동안 5%의 연평균 수익률을 유지한다면 총수익률은 165%로 원금 대비 약 2.6배의 돈을 모으게 됩니다. 반면에 2023년 수익률 분포에서 가장 높은 연평균 수익률인 12.73%를 유지할 수 있다면, 총수익률은 1479%로 원금의 15배가 넘게 됩니다. 최종 수익률이 이렇게 크게(약 9배) 차이 나는 것은 복리 효과 때문입니다.

직장인 중위소득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 2023년 직장인 중위소득은 250만원입니다 [관련 기사]. 퇴직연금으로 매달 급여의 10%인 25만원을 35년간 적립한다면, 수익률 5%는 2억 7900만원을 받게됩니다. 큰 돈이지만 남은 30~40년의 인생을 살기에는 부족합니다. 퇴직 후 은퇴를 못하고 더 일해야 할 것입니다.

반면에, 수익률이 12.7%라면 16억 6200만원을 받게됩니다. 이 돈을 모두 3%의 이자를 주는 예금 또는 배당주에 투자한다면, 매년 약 5000만원을 이자로 받게됩니다. 이자만으로도 어느정도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돈이 생깁니다. 같은 직장을 다니더라도 두 사람의 은퇴 후 생활수준은 차이가 크게 벌어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저 개인적으로는 원리금 보장상품이 아닌 주식형 펀드를 가입하고 있습니다. 장기간 투자하는 퇴직연금은 단기 변동성만 견딜 수 있다면 장기적으로 주식형 펀드의 수익률이 더 유리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관련 글

국내상장 나스닥100 ETF 비교 추천

국내상장 S&P500 ETF 비교 추천

4 thoughts on “퇴직연금 DC형 수익률 비교 분석”

Leave a Comment